한자&중국어

가장 흔한 중국한자 100글자

뽀로로친구에디 2025. 5. 20. 10:48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quizshow_hanja

 

한자퀴즈, 한자공부 - Google Play 앱

한자능력검정, 한자퀴즈, 한자게임, 한자 공부, 중국한자, 일본한자

play.google.com

과녁 적 的은 '과녁 적'이라는 한자로, '과녁' 및 소유격/관형격 조사, '~한 성질/상태'을 뜻한다.
한 일 은 '한 일'이라는 한자로, '하나', '1', '첫째' 등을 뜻한다.
옳을 시 是는 '이/옳을 시'라는 한자로, '옳다', '바르다', '이다', '이', '이것', '는' 등을 뜻한다.
아닐 불 不은 '아닐 불'이라는 한자로, '~가 아니다', '~하지(이지) 않다' 등을 뜻한다.
마칠 료 了는 '마칠 료'라는 한자로, '마치다', '밝다', '명백하다' 등을 뜻한다.
사람 인 人은 '사람 인'이라는 한자로, '사람'을 뜻한다.
나 아 我는 '나 아'라는 한자로, 1인칭 대명사 '나'를 의미한다.
있을 재 在는 '있을 재'라는 한자로, '있다', '존재(存在)하다' 등을 뜻한다.
있을 유 有는 '있을 유'라는 한자로, '있다'를 뜻한다.
다를 타 他는 '다를 타'라는 한자로, '다른', '다른 것', '남' 등을 뜻한다.

 

 

이 저 這는 '이 저'라는 한자로, '이(this)'이라는 지시대명사의 의미를 가진다.
할 위 爲는 '할 위'라는 한자로, '하다', '되다', '위(爲)하다' 등을 뜻한다. '하 위'라고도 한다.
갈 지 之는 '갈 지'라는 한자로, '가다'라는 뜻을 가진다. 그 외에 3인칭 지시 대명사[1], 어조사[2] 등의 의미가 있다. 주로 한국어 조사 '의'에 대응하는 속격 어조사로 많이 쓰였는데, 현대에는 흔히 쓰이지는 않으며[3] 문어에서나 찾아볼 수 있다.[4]
큰 대 大는 '큰 대'라는 한자로, '큰', '커다란', '크다' 등을 뜻한다.
올 래 來는 '올 래'라는 한자로, '오다', '이후', '앞날' 등을 뜻한다.
써 이 以는 '써 이'라는 한자로, 조사 '~로써'를 의미한다.
낱 개 낱 개(個). '낱낱', '하나의', '개(個)'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가운데 중 中은 '가운데 중'이라는 한자로, '가운데', '중간(中間)' 등을 뜻한다.
위 상 上은 '위 상'이라는 한자로, '위', '앞', '처음' 등을 뜻한다.
무리 문 們은 '무리 문'이라는 한자로, '무리'를 뜻하며 중국어에서 복수형 '~들'을 뜻한다. 그래서 '들 문'이라고도 한다.

 

 

이를 도 이를 도(到). '이르다', '도달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다.
말씀 설 說은 '말씀 설' 또는 '달랠 세'라는 한자로, '말씀' 또는 '달래다'를 뜻한다.
나라 국 國은 '나라 국'이라는 한자로, '나라', '국가(國家)' 등을 뜻한다.
화할 화 和는 '화할 화'라는 한자로, '화(和)하다', '화목하다', '어우러진다' 등을 뜻한다. 
땅 지 地는 '땅 지'라는 한자로, '땅', '대지(大地)'를 뜻한다. '따 지'라고도 한다.
어조사 야 也는 '이끼[1]/어조사 야'라는 한자로, 어조사를 뜻한다. 고전 한문에서는 무언가를 강조하거나 "~이다"라는 뜻을 나타낼 때 쓰였으며, 현대 중국어에서는 "~도", "또한"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아들 자 子는 '아들 자'라는 한자로, '아들', '자식', '남자', '아이', '사람', '너(2인칭 대명사)', '열매', '씨앗', '첫째 지지' 등을 뜻한다.
때 시 時는 '때 시'라는 한자로, '때', '시간(時間)' 등을 뜻한다.
길 도 道는 '길 도'라는 한자로, '길', '도로(道路)' 등을 뜻한다.
날 출 出은 '날 출'이라는 한자로, '나가다', '나오다' 등을 뜻한다.

 

 

말이을 이 而는 '말이을 이'라는 한자로, 말 그대로 한문에서 말을 이어줄 때 사용되는 글자이다. 而 자는 정확히 말하면 연사(連詞, 접속사)에 해당하며, 주로 동사성 성분(형용사도 이어 주기는 한다)을 이어 준다. 의미 상으로는 순접(~하고, ~하며 등)과 역접(~하지만, ~하나 등)이 모두 가능한 유연한 연사이다.
요긴할 요 要는 '요긴할 요'라는 한자로, '요긴(要緊)하다', '중요(重要)하다', '필요(必要)하다', '요점(要點)'을 뜻한다.
어조사 우 于는 '어조사 우'라는 한자로, 어조사로 쓰이며 어조사 어(於)와 용법이 같다.
나아갈 취 就는 '나아갈 취'라는 한자로, '나아가다'를 뜻한다.
아래 하 下는 '아래 하'라는 한자로, '아래', '내리다', '내려가다' 등을 뜻한다.
얻을 득 得은 '얻을 득'이라는 한자로, '얻다', '손에 넣다'라는 뜻이다.
옳을 가 可는 '옳을 가'라는 한자로, '옳다', '진실로', '대략' 등을 뜻하며, '허락하다'의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너 니 2인칭 대명사로서, '너' 혹은 '당신'에 대응될 한자이다. 중국어에서 이 뜻으로 자주 쓰인다. 대표적인 예시로 흔히 사람들이 중국어 인삿말로 알고 있는 '니하오'가 你好이다.
해 년 年은 '해 년'이라는 한자로, '해', '시대', '나이' 등을 뜻한다.
날 생  生은 '날 생'이라는 한자로, '나다(태어나다)', '살다', '생명(生命)' 등을 뜻한다. 

 

 

스스로 자 自는 '스스로 자'라는 한자로, '스스로', '자기 자신'을 뜻한다.
모일 회 會는 '모일 회'라는 한자로, '모이다', '모으다' 등을 뜻한다.
어찌 나 那는 '어찌 나'라는 한자로, '어찌', '많다', '어조사' 등을 의미한다.
임금 후 后는 '임금/왕후 후'라는 한자로, '왕(王)', '왕후(王后)' 등을 뜻한다.
능할 능 能은 '능할 능'이라는 한자로, '능(能)하다', '할 수 있다' 등을 뜻한다.
대할 대 對는 '대할 대'라는 한자로, '대(對)하다', '대응(對應)하다', '마주하다', '짝', '상대(相對)' 등을 뜻한다.
붙을 착 着은 '붙을 착'이라는 한자로, '붙다', '입다', '다다르다'를 뜻한다.
일 사 事는 '일 사'라는 한자로, '일', '사건(事件)', '직업', '재능' 등을 뜻한다.
그 기 其는 '그 기'라는 한자로, '그', '그것의' 등의 의미를 지닌다. 한문의 대표적인 허사자이다.
마을 리 里는 '마을 리'라는 한자로, '마을', '고향', '이웃' 등을 뜻한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quizshow_hanja

 

한자퀴즈, 한자공부 - Google Play 앱

한자능력검정, 한자퀴즈, 한자게임, 한자 공부, 중국한자, 일본한자

play.google.com

 

바 소 所는 '바 소'라는 한자로, '바(일의 방법이나 방도 또는 바라는 바)/것', '장소(곳)', '기관' 따위를 뜻한다.
갈 거 去는 '갈 거'라는 한자로, '가다', '지나다', '덜다' 등을 뜻한다.
다닐 행 行은 '다닐 행', '항렬 항'이라는 한자로, '다니다', '가다', '행하다', '항렬' 등을 뜻한다.
지날 과 過은 '지날 과,건널 과'라는 한자로, '지나다', '지나가다', '지나치다' , '과도(過度)하다', '과거(過去)', '과오(過誤)' 등을 뜻하고 건너다가 통과(通過)‘약과(略過)’도과(跳過)등을 뜻한다 .
집 가 家는 '집 가'라는 한자로, '집', '가족(家族)', '문벌', '전문가' 등을 뜻한다.
열 십 十자는 '열 십'이라는 한자로, '열', '10', '열째' 등을 뜻한다.
쓸 용 用은 '쓸 용'이라는 한자로, '사용(使用)하다'를 뜻한다.
필 발 發은 '필 발'이라는 한자로, '활을 쏘다'를 뜻한다. '일어나다', '피다', '떠나다' 등의 뜻은 파생되었다. 그래서 '쏠 발'이라고도 한다.
하늘 천 天은 '하늘 천'이라는 한자로, '하늘'을 뜻한다.
같을 여 如는 '같은 여'라는 한자로, '마치 ~와 같다(~와 유사함)'를 뜻하며, '동등', '평등'이란 단어에서 쓰는 '같다'라는 의미는 아니다. 영어로 뜻을 설명하자면 same, equal이 아닌 like, such as에 해당한다. 옛날에는 '답다'라는 형용사를 써서 '다울 여'라고도 했다고 하니 이를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그럴 연 然은 '그럴 연'이라는 한자로, '그렇다'를 뜻한다.
지을 작 作은 '지을 작'이라는 한자로, '짓다'를 뜻한다.
모 방 方은 '모 방'이라는 한자로, '모', '네모'라는 뜻부터 '방위', '장소', '방법', '둘레', '바야흐로', '본뜨다' 등 뜻이 굉장히 많다.
이룰 성 成은 '이룰 성'이라는 한자로, '이루다'를 뜻한다.
놈 자 者는 '놈 자'라는 한자로, '사람'을 뜻한다. 그래서 '사람 자'로도 부른다.
많을 다 多는 '많을 다'라는 한자로, '많다'를 뜻하며 심하다, 지나치다는 뜻이 파생되었다. 많은 것을 좋게 보던 옛 사람들의 관점에 따라 좋다, 아름답다, 아름답게 여긴다는 뜻도 있고, 여자의 인명에는 '아름다울 다'로 쓰이기도 한다. 그 외에도 더 낫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날 일 日은 '날 일', '해 일'이라는 한자로,[1] '해', '날', 국가로써는 '일본(日本)'을 뜻한다.
도읍 도 都는 '도읍 도'라는 한자로, '도읍(都邑)', '도시(都市)', '모두' 등을 뜻한다.
석 삼 三은 '석 삼'이라는 한자로, '셋', '3', '셋째' 등을 뜻한다.
작을 소 小는 '작을 소'라는 한자로, '작다'를 뜻한다.

 

 

군사 군 軍은 '군사 군'이라는 한자로, '군사(軍士)', '군인(軍人)', 군대(軍隊) 등을 뜻한다.
두 이 二는 '두 이'라는 한자로, '둘', '2', '둘째' 등을 뜻한다.
없을 무 無(간체 : 无)는 '없을 무'라는 한자로, '없다'를 뜻한다.
한 가지 동 同은 '한 가지 동'이라는 한자로, '한 가지', '무리', '함께', '같다' 등을 뜻한다.
작을 마 麽는 '작을 마'라는 한자로, '작다', '잘다', '가늘다' 등을 뜻한다.[
지날 경 經은 '지날/글 경'이라는 한자로, '지나다', '글', '세로'를 뜻한다.
법 법 法은 '법 법'이라는 한자로, '법(法)', '법률(法律)', '방법(方法)' 등을 뜻한다. 나라로써는 중국 한정으로 '프랑스'를 뜻한다.[
마땅 당 當은 '마땅 당'이라는 한자로, '마땅하다', '당연(當然)하다'를 뜻한다. 그래서 '마땅할 당'이라고도 한다.
일어날 기 起는 '일어날 기'라는 한자로, '일어나다', '일으키다'를 뜻한다.
줄 여 與는 '줄/더불 여'라는 한자로 '주다', '더불다', '함께하다' 등을 뜻한다.

 

 

좋을 호 好는 '좋을 호'라는 한자로, '좋다', '좋아하다'를 뜻한다.
볼 간 看은 '볼 간'이라는 한자로, '보다', '감시하다', '관찰하다'를 뜻한다.
배울 학 學은 '배울 학'이라는 한자로, '배우다', '공부하다', '가르침' 등을 뜻한다.
나아갈 진 進은 '나아갈 진'이라는 한자로, '나아가다', '오르다', '다가오다' 등을 뜻한다.
씨 종 種은 '씨 종'이라는 한자로, '씨', '종류', '심다', '기르다'를 뜻한다.
장수 장 將은 '장수 장'이라는 한자로, '장수(將帥)', '장차(將次)'를 뜻한다. 그래서 '장차 장'이라고도 한다.
돌아올 환 還은 '돌아올 환'이라는 한자로, '돌아오다', '돌다', '영위하다'를 뜻한다.
나눌 분 分은 '나눌 분'이라는 한자로, '나눈다'를 뜻한다.
이 차 此는 '이 차'라는 한자로 대명사 '이것'을 의미한다.
마음 심 心은 '마음 심'이라는 한자로, '마음', '중심', '심장' 등을 뜻한다.

 

 

앞 전 前은 '앞 전'이라는 한자로, '앞', '먼저', '미래' 등을 뜻한다. 
낯 면 面은 '낯 면'이라는 한자로, '낯', '얼굴'을 뜻한다.
또 우 又는 '또 우'라는 한자로, '또'를 뜻한다.
정할 정 定은 '정할 정'이라는 한자로, '정(定)하다'. '결정(決定)하다'를 뜻한다.
볼 견 見은 '볼 견'또는 '뵈올 현'이라는 한자로, '보다', '뵈다'를 뜻한다. 독음이 2개가 있는 한자다.
다만 지 只는 '다만 지'라는 한자로, '다만', '오직', '바로', '뿐', '그러나' 등을 뜻한다.
주인 주 主는 '임금/주인 주'라는 한자로, '임금', '주인(主人)'을 뜻한다.
빠질 몰 沒은 '빠질 몰'이라는 한자로, '빠지다', '잠기다', '없다' 등을 뜻한다.
공평할 공 公은 '공평할 공'이라는 한자로, '공평(公平)하다', '공식적(公式的)이다'를 뜻한다. 
좇을 종 從은 '좇을 종'이라는 한자로, '좇다'(follow), '따라가다', '따르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quizshow_hanja

 

한자퀴즈, 한자공부 - Google Play 앱

한자능력검정, 한자퀴즈, 한자게임, 한자 공부, 중국한자, 일본한자

play.goog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