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대한민국의 최대의 민주화 항쟁인 6월 항쟁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일시: 1987년 6월 항쟁

지역: 전국

1979년 10.26사건으로 17년간 독재정치를 펼치던 제4공화국의 대통령 박정희 사망

키워드를 이용한 한국사 문제풀기 앱 다운받기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0652.chosun_quiz1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에게 죽음. 

 박정희 전대통령 사망. 


1979년 10·26 사건으로 17년간 독재정치를 펼치던 제4공화국의 대통령 박정희가 사망하고, 새로 취임한 대통령 최규하는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를 수용하겠다고 밝힌다.(서울의 봄) 하지만 이 기쁨도 잠시, 


1979년 12월12일 전두환 등을 비롯한 신군부(하나회)가 군사반란을 일으켜 군부 내 실권을 장악했다. 이후 전두환은 최규하를 로봇처럼 조종했고, 집권 시나리오에 따라 집권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광주 시민들이 민주화 운동을 벌이기 시작했다. 곧바로 시위 규모는 커졌고, 시위 참가자들도 급격하게 늘어나기 시작했다. 하지만 신군부는 이를 무력으로 유혈 진압하였다. 


키워드를 이용한 한국사 문제풀기 앱 다운받기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0652.chosun_quiz1

이후 전두환은 통일주체국민회의에 의해 장충체육관에서 대통령으로 추대되어, 새 대통령으로 취임하게 된다.



1987년에 박종철의 고문 사망 사건과 4.13 호헌 조치로 직선제 개헌과 민주 헌법 제정을 요구하는 시위가 확대되었다.



6월 민주 항쟁(六月民主抗爭)은 1987년 6월 10일부터 6월 29일까지 대한민국에서 전국적으로 벌어진 반독재, 민주화 운동이다. 6월 항쟁, 6·10 민주항쟁, 6월 민주화운동 등으로 불린다.


4·13 호헌 조치와,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 그리고 이한열이 시위 도중 최루탄에 맞아 사망한 사건 등이 도화선이 되어 6월 10일 이후 전국적인 시위가 발생하였고, 이에 6월 29일 노태우 수습안 발표로 대통령 직선제로의 개헌이 이루어졌다. 

이후 1987년 12월 16일 새 헌법에 따른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다

6월 항쟁은 대한민국의 민주화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 운동이 비약적으로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6.29 민주화 선언 ->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

노태우 민주정의당 대표의 6·29 수습 선언 이후 직선제 개헌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고, 제6공화국 새 헌법 개정을 위한 국민투표를 거쳐 1987년 10월,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졌다.


대통령 직선제 개헌으로 16년 만에 대통령선거가 직접선거로 치러졌지만, 정통 민주세력이자 당시 야당의 중심축이었던 김대중 당시 통일민주당 고문과 김영삼 당시 통일민주당 총재가 대통령후보 출마를 놓고 공식 선거전을 앞둔 1987년 10월에 분열을 일으키면서 독자 출마를 강행하게 되었다.

결국 6월 항쟁의 중심 역할을 했던 민주세력의 통합이 불발되었고, 12월 16일 치러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가 당선되었다.


키워드를 이용한 한국사 문제풀기 앱 다운받기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0652.chosun_quiz1


댓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Today
Yesterday
    뽀로로친구에디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