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사능령검정시험 요약정리
키워드로 한국사 문제풀이 어플 입니다. 당연히 무료에요 클릭하면 플레이스토어로 이동합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0652.chosun_quiz1
1. 선사시대
구석기 시대:
연천 전곡리(주먹 도끼 발견), 공주 석장리, 단양 수양개
찍개, 주먹 도끼, 슴베찌르개
신석기 시대:
부산 동삼동, 서울 암사동(빗살무늬 토기)
의복제작, 가락바퀴, 뼈바늘
움집(정착 생활 시작)
구석기.신석기 평등사회 공동체 생활
청동기. 철기 유적지:
부여 송국리, 울주 반구대, 여주 흔암리
청동기 시대:
군장, 무덤, 고인돌, 벼농사, 반달돌칼
벼농사 시작(반달 돌칼 이용)
고인돌, 돌널무덤, 돌무지무덤, 반달 돌칼, 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미송리식 토기 ,민무늬 토기
철기 시대:
거푸집, 세형동검
철제 농기구, 세형동검, 잔무늬 거울, 거푸집, 민무늬 토기,
명도전, 붓 - 중국과 교역
청동기의 의기화
신라 지증왕 우경(깊이 갈이) 실시, 시장 설치(동시전 설치)
고려:
벽란도(중국과 아라비아 상인들과 교류)
조선후기:
감자, 고구마 전래, 구황 작물 재배
모내기법 확대 실시
2. 여러나라
고조선:
8조법(사람을 죽인 자는 사형, 도둑질은 노비 혹은 50만전)
건국-선민사상, 농경 사회, 사유 재산과 계급 분화, 홍익인간, 제정일치
문헌-삼국유사, 제왕운기, 동국여지승람, 응제시주
세력범위-비파형 동검, 미송리식 토기의 출토지
위만조선- 철기문화 본격적 수용, 영토확장, 중계무역
멸망: 한의 침입
부여:
사출도 - 마가, 우가, 저가, 구가
5부 = 왕 + 사출도
제천행사 - 영고 12월
동예:
10월 무천, 책화 (다른 부족의 영역을 침번하는 경우 노비와 소, 말로 변상)
삼한:
제정 분리 사회
신지, 읍차 - 정치적 지배자, 천군-제사장 , 소도-신성지역
3. 삼국시대
신라:
골품 제도(신라의 신분제도)
건국초기(박, 석, 김 3성) 왕위 계승,
지증왕-우경(깊이갈이)-농업 생산량 증대, 국호변경(사로국->신라), 칭호 변경(마립간->왕)-503
법흥왕- 상대등과 병부 설치, 관등 정비 - 중앙집권체제 마련
진흥왕 - 대가양 정복(후가가야 연맹 해체)-562, 4개의 순수비(북한산비, 창녕비, 황초령비, 마운령비), 단양적성비
문무왕 - 삼국통일, 외사정 설치(지방관을 감찰)-673
백제:
근초고왕이 고구려 평양성 공격(고국원왕 사망) -371
무령왕 22담로 왕족 파견 - 지방 통제 강화
무령왕릉 - 벽돌무덤 - 중국 남조의 영향
무왕- 미륵사지 석탑 건립 (목탑의 형태로 만들어진 석탑)
고구려:
제가회의, 왕 아래 상가, 고추가 등의 대가들, 대가들 아래 사자, 조의, 선인 등의 관리가 있었음.
고국천왕: 왕위 부자 세습, 진대법
미천왕: 낙랑군 축출
동천왕: 서안평 고격, 관구검의 침입으로 국내성 함락 됨
소수림왕: 불교 수용(중국 전진의 승려 순도)-372, 태학 설립, 율령 반포
광개토대왕: 신라에 원군 파병하여 왜를 격퇴(호우명 그릇)-400, 백제와 금관가야 공격
장수왕: 남진정책(평양 천도)-427, 한강 유역 점령(백제 개로왕 사망),죽령지역까지 영토 확장, 광개토 대왕릉비, 충주 고구려비
영양왕: 이문진 신집 편찬
영류왕: 천리장성 축조
보장왕: 연개소문 집권, 고구려 멸망(668)
연개소문: 영류왕 제거, 보장왕 옹립, 스스로 대막리지가 되어 정권 장악
가야:
변한지역-철기 문화와 벼농사 발달
금관가야 - 김해, 전기가야 연맹, 낙랑과 왜의 규슈 지방을 연결하는 중계 무역 발달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
1. 신라와 당의 연합군이 백제 공격 -660년 백제 멸망
2. 백제 부흥 운동, 왜가 백제 부흥운동을 지원(백마강 전투)하였으나 나당 연합군에 패함 - 663
3. 나당연합군이 고구려 공격 - 666년 고구려 멸망
4. 고구려 부흥운동 (검모장, 고연무, 보장왕의 서자 안승, 오골성) - 669
5. 나당 전쟁 - 매소성, 기벌포 전투에서 승리, 삼국통일 완성 - 676
4-1 남북국시대(발해)
대조영:
발해건국, 지린성 동모산, 고구려 계승의식
무왕(대무예):
독자적 연호 사용(인안), 흑수 말갈 정벌, 당의 등주 공격,
당의 산둥 반도 공격(장문휴),
돌궐, 일본과 연결하는 외교 관계 수립
문왕(대흠무):
독자적 연호 사용(대흥),
당과 친선, 신라와 교류(신라도)
천도(중경 -> 상경)
선왕(대인수):
말갈족 복속,
요동 진출(고구려 옛 땅 회복),
해동성국(발해의 전성기),
4-2 남북국시대(통일신라)
신문왕:
김흠돌의 난,
국학설치(유학 교육 -> 왕권강화)
5. 후삼국시대
견훤:
후백제 건국
궁예:
후고구려 건국, 철원천도, 국호(마진->태봉)
6. 고려
태조 왕건:
정계, 계백료서, 훈요 10조,
민생 안정, 호족 통합 정책(경혼, 사성, 기인, 사심관), 북진 정책(고구려 계승 의식)
흑창 시행
혜종:
정종:
광종:
쌍기의 건의, 노비안검법, 과거제도, 공복제정, 칭제건원
경종:
시정 전시과
성종:
최승로의 건의 수용, 지방관 파견(12목), 향리 제도 마련, 중앙 통치 기구, 유학 교육 진흥(국자감), 과거 제도 정비
12목-지방관파견
의창 시행 (흑창에 쌀 1만 석 보충)
목종:
현종:
응양군. 용호군 (국왕 친위 부대)
덕종:
정종:
거란 침입 대비 광군 설치 (최광윤의 의견)
문종:
순종:
선종:
헌종:
숙종:
삼한통보, 해동통보, 활구(은병)
윤관의 건의: 별무반(신기군, 신보군, 항마군) 편성
벽란도(예상강 하구)-중국, 아라비아 상들과 교류
예종:
관학 교육 진흥, 국자감 재정비, 7재.양현고
윤관의 별무반 여진족 공격하여 동북 9성 확보
인종:
이자겸의 난
김부식이 삼국사기 편찬 - 현존하는 최고의 역사서 (유교적 합리주의, 기전체 형식)
<무신정권>
의종:
정중부의 무신 정변 -> 의종 폐위, 명종 즉위 -1170
명종: 공주 명학소의 망이.망소이의난 - 1176
경대승:
정중부 제거, 도방(사병집단)설치
최충헌:
교정도감(인사 행정, 재정권, 최고권력기관) 설치
최우:
정방 설치
신종:
희종
강종:
고종:
원종:
<원 간섭기>
원의 내정 간섭 : 일본 원정에 동원, 영토 상실, 관제 격하, 내정 간섭, 경제 수탈, 풍속 변화
충렬왕:
정방폐지,
2성(중서문하성, 상서성) -> 첨의부
도병마사 -> 도평의사사(최고 정무 기구)
충선왕: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충정왕:
공민왕:
공민왕의 개혁 정치: 친원 세력 숙청, 관제 복구, 정동행성 이문소 폐지, 쌍성총관부 수복, 요동 지방 공략, 몽골풍 금지, 정방폐지, 전민변정도감 설치
정방 폐지,
신돈 등용,
전민변정도감 설치,
우왕:
창왕
공양왕
조선시대
태조:
정종:
태종:
호패법, 계미자 주조,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세계지도) 제작,
세종:
칠정산(이순지, 김담)
4군 6진 설치(압록강 일대 여진족을 몰아내고 4군(최윤덕)설치, 6진(김종서) 설치
대마도 정발(이종무),
계해약조-삼포 개방-(부산포, 제포, 염포 개방),
연분 9등법.전분 6등법(풍흉.토지 비옥도에 따라 전세 차등 징수)
향약집성방(의학서)
문종:
단종:
계유정난(수양대군-최윤덕, 김조서 제거)
세조(수양대군):
직전법(현직 관리에게만 토지를 지급)
예종:
성종:
동국통감(서거정), 악학궤범(성현), 해동제국기(신숙주)
홍문관 설치: (집현전 계승), 사헌부와 사간원과 함께 3사에 포함, 왕의 자문, 경연, 경서, 사적 관리 등의 업무
연산군:
무오사화, 갑자사화
중종:
삼포왜란->왜적침임대비-> 임시기구 비변사 설치
인종:
명종:
을사사화: 대윤(윤임) vs 소윤(윤원형)
선조:
이조 전랑 임명 문제->사림의 분화 -> 김효원(동인)과 심의겸(서인)으로 분화 -> 붕당 정치 시작
정여립 모반 사건(기축옥사) ->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화
임진왜란 발발
훈련도감 설치(유성룡의 건의, 포수, 사수, 살수의 삼수 병의 편성, 직업 군인)
광해군:
동의보감(허준),
대동법 시행(경기도),
기유약조-왜관설치-일본과 국교 재개 (부산에 왜관 설치)
인조:
이괄의 난,
효종(봉림대군):
기축봉사(송시열): 명에 대한 의리, 북벌 계획
현종:
숙종:
기사환국: 남인집권, 인현 왕후 폐위
백두산 정계비(청과의 영토 분쟁)
경종:
영조:
균역법(1년 2필->1필, 군역 부담 해결 목적, 부족해진 재정은 어장세, 염세, 선박세, 결작(토지 1결당 2두)),
청계천 준설(홍수 대비 목적), 준천사 설치
탕평책 실시,
속대전, 속오례의, 동국문헌비고 편찬
정조:
수원 화성 건립
장용영(친위 부대) 설치
순조:
세도정치 시작(안동김씨), 신유박해(천주교 탄압, 정약전.정약용 유배)
헌종:
철종:
임술 농민 봉기 -> 삼정이정청 설치(박규수) -> 삼정의 문란 해결하지 못함
흥선대원군 집권(고종 아빠):
호포제(양반 군포 부과-군정의 문란 해결 목적),
병인박해(1866)->제너럴 셔먼호 사건(1866)->병인양요(1866)->오페르트 도굴 사건(1868)->신미양요(1871)->척화비 건립(1871)
경복궁 중건(왕실 권위 회복, 당백전 발행)
병인양요(1866): 외규장각 도서 약탈
고종:
임오군란(구식군대 차별, 신식 군대 별기군) -> 제물포 조약 (일본 공사관 일본 경비병 주둔)
거문도 사건(영국이 러시아를 견제)
헤이그 특사 파견( 을사늑약 건, 이상설.이준.이위종)
대한제국 - 양지아문 설치, 양전사업 실시(1898) , 지계아문-근대적 토지 소유 문서(1901)
박문국-최초의 신문, 한성순보 발행 (1883)
제1차 갑오개혁(1894)-청의 연호 폐지, 공사 노비법 혁파, 과거제 폐지
제2차 갑오개혁(1894)-홍범14조 반포, 지방행정구역(8도->23부)
순종:
각종 조약:
강화도 조약(1876): 최초의 근대조약, 불평등 조약, 부산.원산.인천 개항
조일 무역 규칙(1876): 무제한 양곡 유출, 무관세
조미 수호 통상 조약(1882): 최혜국 대우 조항이 처음으로 규정
조프 수호 통상 조약(1886): 천주교 포교 허용
제1차 한일 협약(1904): 스티븐슨, 메가타 고문 정치
을사늑약(1907):
일제강점기:
암태도 소작쟁의(소작료 인한, 전남 신안군)
국채보상운동(서상돈.김광제, 대구, 1907): 대한매일신보, 황성신문 등의 지원 -> 전국적으로 확산
물산장려운동(조만식, 평양, 1920)
형평운동(조선형평사, 백정-사회적 차별, 진주, 1923)
간도참변(1920): 일제의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의 보복으로 간도 지역에 사는 수많은 한국인을 학살
민립 대학 설립 운동: 이상재, 한규설, 조선 민립 대학 기성회 조직(1923)
3.1운동: 고종의 인산일, 전국규모, 중국의 5.4운동에 영향, 일제의 통치 방식(무단통치->문화통치),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농촌 계몽 운동: 1930년대 초, 조선일보-문자 보급 운동, 동아일보-브나로드 운동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한국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 간 충돌, 신간회 진상 조사단 파견
6.10 만세운동(1926): 순종의 인산일, 사회주의자들과 학생들이 준비했으나 학생들만 만세 운동 진행
1910년대 무단 통치 시기
1920년대 문화 통치 시기
1930년대 일제는 대륙 침략을 위해 한반도를 병참 기지화
국민 징용령(1939) - 노동력 착취
학도 지원병 제도(1943) - 전쟁터로 강제 징집
징병 제도(1944) - 전쟁터로 강제 징집
여자 정신대 근무령(1944) - 위안부
현대사:
좌우 합작 위원회(1946): 여운형, 김규식
남북협상 실패(1948): (남한)김구, 김규식 - (북한)김일성
1차 미소 공동위원회 결렬 - 북한정부수립-이승만 남한 단독 정부 수립 주장(정읍 발언)-1946.6
한미원조협정(1948.10)
5.10 총선거 - 제헌국회 구성,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의 민주주의 선건, 38도선 이남에서만 실시, 제주도 4.3사건으로 2개 선거구 무효 처리
4.3 사건- 제주도
반민 특위 습격 사건(1949.6)
사사오입 개헌(1954.11)
발췌개헌 - 6.25전쟁중 개헌(대통령 직선제, 내각 책임제)
3.15부정선거 - 부통령 이기붕 당선 목적 -> 4.19혁명
4.19혁명 - 이승만 하야 - 내각 책임제 (장면 내각)
4.19혁명 -> 제3차 개헌 -> 내각 책임제. 양원제
6.3 항쟁: 박정희 정부가 1964년 한일 국교 정상화 회담 반대
유신 헌법 - 박정희, 장기 집권 목적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62~1966)
비례 대표제 처음 시행- 1963년 제6대 국회의원선거
전태일 분신 사건 - 열악한 노동 환경 (1970.11)
최저 임금법 - 1986년 제정, 1988년 실시
수출 100억달러 달성 - 박정희 정부 (1977)
5.18 민주화 운동: 신군부의 비상계엄 확대, 광주,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
북방외교정책(1991) - 남북한 동시 유엔가입, 남북 기본 합의서 채택, 한반도 비핵화에 관한 공동 선언- 노태우 정부
금융 실명제(1993) - 김영삼 정부
6.15 남북 공동서언(2000) - 김대중 정부
한미 자유 무역 협정(FTA) 2007 - 노무현 정부
전두환 정부 -> 4.13 호헌 조치 ->6월 항쟁-> 6.29민주화 선언 -> 대통령 직선제 -> 노태우 당선
각 정부별 통일 정책
이승만 정부: 북진 통일론, 강력한 반공 정책
박정희 정부: 반공(선 건설 후 통일론 주장), 7.4 남북 공동 성명(자주, 평화, 민족적 대단결)
전두환 정부: 최초로 이산가족 방문
노태우 정부: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 제시, 남북 유엔 동시 가입, 남북 기본 합의서,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
김영삼 정부: 3단계 통일 방안 제시, 북한에 경수로 건설 추진, 남북 정상 회담 무산(김일성 사망)
김대중 정부: 햇볕 정책, 금강산 관광, 남북 정상 회담(6.15남북 공동 선언), 이산가족 상봉, 개성공단협약, 경의선 복구
노무현 정부: 남북 정상 회담(10.4선언)
이명박 정부: 천안함, 연평도 포격 도발 사건, 금강산 관광객 피습 사건
불교 및 기타 종교
원광:신라화랑도, 생활규범, 세속5계
의상:화엄사상, 화엄일승법계도
혜초: 인도.중앙아시아 지역 답사, 왕오천축국전 편찬, 통일신라 때
자장: 부처의 힘, 황룡사 구층 목탑
의천: 고려왕족 출신, 교종과 선종의 통합운동(교종 중심), 국청사 창건, 천태종 창시, 교관겸수
지눌: 정혜쌍수, 돈오점수
혜심: 지눌의 제자, 유불일치설 주장
요세: 법화신앙, 백련사, 백련 결사 주도
대종교: 나철, 오기호, 단군을 숭상, 일제의 탄압에 대항
천도교: 개벽, 어린이, 신여성 등의 잡지 간행
개신교: 개신교 선교사 아펜젤러, 배재 학당-최초의 근대 사립학교 (1885)
천주교: 경향신문 발행 (1906)
무덤
굴식 돌방무덤: 모줄임 천장 구조
김유신묘: 통일신라, 둘레돌, 12지 신상
황남대총: 돌무지 덧널무덤
무령왕릉: 벽돌무덤, 중국 남조 영향
중앙정부, 지방통치
백제:
지배층-왕족 부여씨, 8성 귀족 구성
무령왕(22담로, 왕족파견, 지방 통치 강화)
고구려:
제각회의 - 국가 중대사 결정
신라:
골품 제도(신분제도)
통일신라:
집사부 등 14부 - 행정 업무 분담
발해:
솔빈부(발해의 지방 행정 구역)- 말 수출
고려:
태조(사심관 제도, 경순왕, 경주사심관)
성종(최승로 건의, 12목, 지방관 파견)
어사대 관원, 중서문화성 낭사->대간->감찰.간쟁
양계와 주진군
조선:
수령파견, 경재소 설치
대동법: 공납(방납)의 폐단 해결, 공물 대신 쌀을 납부, 공인, 상품 화폐 경제 발달
반란 사건
통일신라:
김흠돌의 난(신문왕)
고려:
망이망소이의 난: 공주 명학소, 무신정권
이자겸의 난: 실패, 척준경, 인종 때 ,
조선:
계유정난(세조는 수양대군 시절 계유정난을 일으켜 황보인, 김종서를 제거)
이괄의 난(인조반정에서 큰 공을 세웠지만 2등 공신을 받은 것에 대한 불만)
홍경래의 난(1811,몰락한 양반 출신, 서북민 차별 대우, 세도정치. 삼정의 문란)
임술농민봉기(1862, 삼정의 문란. 백낙신의 수탈, 안핵사 박규수 파견, 삼정이정청 설치->해결 못함)
역사서 및 기타 서적 :
시정기, 사초 -> 조선왕조실록
삼국유사: 일연, 불교사 바탕, 민간 설화, 원간섭기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동명왕편: 이규보, 고구려 계승 의식
제왕운기: 이승휴, 단군부터 서술~
동국통감: 조선 성종, 서거정, 단군 조선~고려 말
악학궤범: 조선 성종, 성현, 의궤와 악보
동의보감: 허준, 조선 선조 때 시작하여 광해군 때 완성
칠정산: 이순지.김담, 수시력.회회력을 참고
해동제국기: 조선 성종, 신숙주
성학십도: 이황, 성리학 발적, 조선 중기
열하일기, 과농소초, 한민명전의: 박지원, 상공업의 발달과 화폐 유통의 필요성 주장
양반전, 허생전, 호질 : 박지원, 양반의 무능과 허례를 풍자하고 비판
반계수록: 유형원(중농학파)
성호사설, 곽우록: 이익(중농학파)
목민심서, 경제유표, 흠흠신서: 정약용(중농학파)
우서: 유수원(중상학파)
의산문답, 임하경륜: 박지원(중상학파)
북학의: 박제가(중상학파)
삼국사기: 김부식, 현존하는 최고의 역사서 (유교적 합리주의, 기전체 형식)
조선의 사화
무오사화: 연산군, 훈구파 vs 사림파, 김종직의 조의제문
갑자사화: 연산군, 폐비 윤씨 사건 배경, 사림과 일부 훈구 세력까지 피해
기묘사화: 중종, 조광조의 개혁정치, 위훈 삭제 사건, 주초위왕 사건
을사사화: 명종, 인종의 외척(윤임-대윤) vs 명종의 외척(윤원형-소윤)
각종 인물
양명학: 정제두(강화 학파)
박제가: 서얼, 규장각 검서관, 조선 정조때
홍대용: 혼천의 제작, 지전설 주장, 의산문답 저술, 중국 중심의 성리학적 세계관 비판
유수원: 우서 저술, 상공업의 진흥과 기술의 혁신 강조, 사농공상 직업적 평등 주장
최제우: 동학창시, 혹세무민, 처형
홍경래: 홍경래의 난(서북민 차별대우, 세도정치.삼런의 무란, 평안도의 몰락한 양반 출신)
박규슈: 임술농민봉기(삼정의 문란) 해결을 위해 삼정이정청 설치
전봉준: 동학농민운동
조병갑: 고부 군수, 조병갑의 횡포에 반발한 농민들이 동학농민운동을 일으킨다.
주시경: 한글학자, 국문연구소(1907), 한글의 정리와 국어의 이해 체계 확립
홍범도: 대한 독립군
김좌진:북로 군정서군
박은식: 한국통사, 학국독립운동지혈사(갑신정변~3.1운동), 혼 강조
백남운: 조선사회경제사-식민주의 사관 비판, 유물 사관
이병도, 손진태: 진단 학회-실증주의 사학 발달
신채호: 독사신론-민족중시, 조선상고사, 조선사연구초
정인보, 안재홍: 여유당전서(정약용의 저술 모음)-조선학 운동
지청천: 무장 독립 투쟁, 한국 독립군(1931, 북만주)-중국 호로군과 연합하여 쌍성보, 사도하자, 대전자령 전투에서 일본군에 승리
김원봉: 의열단 결성, 무장 독립 투쟁
나석주: 1926년, 동양 척식 주식회사.식산은행에 폭탄 투척, 의열단
임변찬: 독립 의군부(고종의 비밀 지령), 총독부에 국권 반환 요구서 보냄
이재명: 이완용 습격
김원봉: 조선 의용대, 중국 국민당의 지원, 충칭으로 이동하여 한국 광복군 합류
최충: 9재학당, 문헌공도
정몽주: 고려 말 대표적 온건 개혁파, 이방원에 의해 피살-개성 선죽교
각종 단체
조선어 연구회(1921): 가갸날을 제정, 잡지(한글)을 간행, 한글 대중화
조선어 학회(1931) : 조선어 연구회 -> 조선어 학회로 확대 개편 , 한글 맞춤법 통일안, 조선어 학회 사건(1942)
신민회(1907): 안창호, 양기탁, 대산학교, 오산학교, 태극서관, 자기회사, 국외에 독립운동 기지 건설(삼원보에 경학사, 신흥강습소), 미국에서 흥사단 결성
신간회: 광주 학생 항일 운동 진상 조사단 파견(1929)
이륭양행(1919): 대한민국 임시정부 교통국, 중국 단둥, 아일랜드계 영국인 조지 루이스 쇼
보안회: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 반대 운동
독립협회: 서재필, 만민공동회, 관민공동회, 중추원 개편을 통한 의회설립 추진
대조선 국민 군단: 1914, 박용만, 하와이
대한인 국민회: 미주 지역, 한인 사회 구성
일본 도쿄 유학생: 2.8 독립선언 (1919) -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 바탕
권업회: 1911, 이상설, 연해주, 권업신문 발행
대한광복군정부: 1914, 연해주
천도교 소년회: 김기전, 방전환-어린이날
의열단: 박재혁(부상경찰서), 최수봉(밀양경찰서), 김익상(조선총독부), 김상옥(종로경찰서), 김지섭(도쿄왕궁), 나석주(동양척식주식회사, 식산은행)
한인애국단: 이봉창, 윤봉길
<한글 연구 단체>
국문연구소: 최초의 한글 연구 기관, 주시경, 지석영
조선어 연구회: 가갸날, 한글 잡지
조선어 학회: 표준어 제정, 한글 맞춤법 통일안 제정, 우리말 큰사전 편찬, 조선어 학회 사건(1942)
한글 학회: 우리말큰사전 완성
<애국 계몽 단체>
보안회(1904): 독립협외의 정신 계승, 황무지 개간권 요구 반대 운동
헌정 연구회(1905): 입헌 정체 수립 목적, 일진회 규탄 중 해산
대한 자강회(1906): 고종의 강제 퇴위 반대 운동
신민회(1907): 안창호, 양기탁, 항일비밀결사단체, 공화 정체 지향, 실력양성운동(태극서관, 평양자기회사, 대성학교, 오성학교, 경학사), 군사력 양성(신흥무관학교), 105인 사건으로 해산
근우회(1927): 신간회 자매단체, 여성 계몽 활동
<건축물>
미륵사지 석탑: 백제 무왕, 목탑의 형태로 만들어진 석탑
불국사 다보탑: 통일신라, 다보여래 상징
불국사 삼층 석탑: 통일신라
발해 영광탑: 중국 지린성
정림사지 오층 석탑: 백제
분황사 모전 석탑: 현존하는 신라 석탑 중 가장 오래된 석탑
수덕사 대웅전-고려시대-충남 예산군
쌍계사 대웅전-조선시대-충남 논산시
화엄사 각황전-조선시대-전남 구례군
전등사 대웅전-조선시대-강화도
금산사 미륵전-김제
법주사 팔상전-보은
봉정사 극락전 -안동
부석사 무량수전-영주
<전쟁사>
거란의 침입
1차 침입: 소손녕의 침입-서희의 외교 담판-강동 6주 획득
2차 침입: 개경 함락-양규의 활약
3차 침입: 거란(소배압) 침입-강동 6주 반환 요구, 강감찬의 귀주 대첩, 천리장성 축조(고구려와 다른 지역)
홍건적 격퇴: 고려 말 홍건적이 개경까지 침입-최영, 이성계가 격퇴
몽골의 2차 침입: 김윤후가 처인성 전투에서 몽골 적장 살리타 사살
쌍성총관부공격: 공민왕이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여 철령 이북 영토 수복
황산대첩: 이성계가 왜구 격퇴
임진왜란
일본을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을 침공
부산진 첨사 정발, 동래 부사 송상현 패배 (1592.4)
이순신의 한산도 대첩(1592.7)
조명 연합군의 평양성 탈환
행주대첩(1593.2)
노량해전-이순신 장군 전사(1598.11)
<강화도 역사>
병자호란-왕족들이 강화도 피신-김상용 순절
병인양요-프랑스 침입-외규장각 약탈
신미양요 -미국 침입(제너럴 셔먼호 사건 구실)- 광성보 어재연
조선왕조실록 사고설치
<고려.조선 시대의 화폐>
고려 성종: 건원중보
고려 숙종: 삼한통보, 해동통보, 은병
고려 충렬왕: 쇄은
고려 충혜왕: 소은병
고려 공양왕: 저화
조선 세종: 조선통보
조선 인조: 상평통보
조선 숙종: 상평통보 법화 지정
조선 고종, 흥선대원군: 당백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