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이스트 교수의 주식 투자비법
4억원을 11년만에 500억으로 만든 카이스트 김봉수 교수
카이스트 화학과 교수
서울대 석사, 미국 버클리대 화학박사
직업: 선생님
주식투자하게 된 계기
의사친구에게 자극받아 주식투자 시작
아이들 외국인 학교 보내기 위해
4억을 11년 만에 500억 달성
2005년 F&F 투자로 초대박
저평가 자산주 위주로 10개 회사 투자
주식투자 책을 500권정도 읽었다고 합니다.
화학과 주식투자
화학이나 주식 모두 문제 해결 - 미래 예측 게임
- 화학보다 주식이 더 쉬었어요
- 주식투자는 오를지/내릴지만 판단
화학은 세계 최고의 학장들과 경쟁하지만
- 주식투자는 500만명중 249만9000등만 해도 수익낼 수 있음.
성공종목/이유?
회사명: F&F
투자이유: 사람들이 열광 - 메이저리그의 인기와 디스커버리의 디자인에 열광
매수가: 2000원 -> 72000원
투자원칙 : 눈에 보이지 않는 업종에는 투자하지 않는다.
생활 밀착형 투자를 하라
IS동서 투자: 주상복합 시장의 성장성으로 10배 수익
메가스터디 투자: 자녀 교육하다 발굴
부산방직 투자: 자회사 쿠첸(전기밥솥)의 성장성
아이즈비전 투자: 알뜰폰과 순자산비율(PBR)장점
김봉수 교수의 투자 유형?
사람의 오류에 기반한 투자를 함
가치와 가격, 둘의 괴리가 가장 클 때가 바로 투자 시기 임.
- 특히, 가치에 비해 가격이 휠씬 쌀 때가 있는데, 그 괴리가 사람의 오류 때문
사람이 가치판단을 잘 못하기 때문인데, 그게 투자의 기회이고, 그걸 찾는 것.
투자시 고려 사항은?
또 하나의 투자 포인트? 사람의 심리
- 사람이 감성적으로 행동하기 때문에
- 주가가 오르면 더 오를 수 있다는 긍정적 피드백으로 이성을 잃고 흥분하여 결국 주가는 오버슈팅을 하게 됨.
- 전에는 가치만 계산 하였지만, 심리를 이해 하면서 심리+가치+가격을 계산에 포함시킴.
보유종목 매도 시기는?
주가의 가치가 적정 가치에 도달시
보유종목 보다 더 좋은 주식이 나타날때
중용한 것은 회사의 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함.
김봉수 교수의 투자 조언(키 포인트)
공부하고 또 공부하라
- 김교수는 수백권 공부 요약(3000p -> 50p -> 3p)
아는 종목만 투자하라(생활속에서 찾아라)
저가 매수하라(저 PBR 위주로)
3년이상 장기 보유하라(비효율->효율적으로 바뀌는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