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3.1 독립만세운동과 함께 한 태극기

뽀로로친구에디 2018. 3. 23. 16:04

3.1 독립만세운동과 함께 한 태극기

숭실학교 태극기

1919년 3월 1일 평양지역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한 숭실대학 교정 국기게양대에 걸려 있던 것으로 3.1 독립만세운동 이틀 전 숭실학교 학생 김건, 박병곤 등이 제작. 교장 마펫 선교사가 보관하다가 사후 그의 아들이 1974년 숭실대학교에 기증. 



미주지역 시위 태극기

미주 한인 동포들이 1919년 4월 16일 필라델피아에서 독립식을 거행하고 시위 행진할 때 사용한 태극기. 대나무에 화살촉 모양의 구리 장식을 달고 그 사이에 태극기를 붙인 형태.



김세영 태극기: 1919년 3월 18일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한 김세영이 제작한 태극기, 국기봉이 있고 가운데에 태극기를 묶어 놓은 형태



태극기 목판

3.1 독립만세운동 때 태극기를 대량으로 찍어내기 위해 목재에 4괘와 태극 문양을 새겨 만든 목판. 적색, 청색, 흑색 물감으로 칠해 천이나 종이에 떠내는 방식으로 한번에 많은 양의 태극기를 제적하는데 사용.



남상락 태극기

1919년 4월 4일 독립운동가 남상락이 충청남도 당진군 대호지면 만세운동 때 부인과 함께 제작한 태극기. 가내수공업 방식으로 짠 견직물(명주)에 손바느질로 테두리를 마감하고 흑색실로 4괘를, 적색과 청색실로 태극을 수놓아 제작.



진관사 태극기

1919년 3.1 독립만세운동 전후 제작된 것으로, 일장기에 먹물로 태극문양과 4괘를 덧칠해 제작.

2009년 5월 서울 진관사 칠성각 해체보수과정에서 불단과 벽체 사이에서 발견.



1919 태극기, 민족에 올리다.

1919년 3월 1일 시작된 독립만세운동에 사람들은 각자의 방법으로 태극기를 만들어 만세운동에 동참, 태극기를 흔들며 "대한독립만세"를 외쳤습니다.

일제의 무력 진압에도 굽히지 않고 휘날렸던 태극기는 우리 민족에게 조국 독립의 큰 울림이었습니다.

1919년 당시 제적되어 3.1독립만세운동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태극기 6점을 통해 1919 그 날의 함성을 떠올리고 우리 민족에 울려 펴진 독립만세의 의미를 되새겨 봅니다.


댓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Today
Yesterday
    뽀로로친구에디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