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마립간’ 대신 중국식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한 왕의 업적은?
1 병부를 설치하였다.
2 국학을 설치하였다.
3 우산국을 복속시켰다.
4 대가야를 정복하였다.
답:3
해설: 마립간 대신 중국식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한 왕
병부 설치는 법흥왕
국학 설치는 신문왕
대가야 정복은 진흥왕
다음 비문의 내용에 해당하는 고구려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영락 10년(400) 경자에 보병과 기병 5만을 보내 신라를 구원하게 하였다. 후퇴하는 왜적을 추격하여 종발성을 함락하고 병사를 두어 지키게 하였다.
1 후연을 격파하여 요동으로 진출하였다.
2 율령을 반포하여 국가체제를 정비하였다.
3 지방세력 통제를 위해 불교를 공인하였다.
4 지두우를 분할 점령하여 흥안령 일대의 초원지대를 장악하였다.
답: 1
해설: 지문은 광개토대왕이다.
율령반포와 불교 공인은 소수림왕이다.
지두우를 분할 점령하여 흥안령 일대의 초원지대를 장악은 장수왕의 업적이다.
금석문의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울진 봉평신라비-이 지역에 발생한 중대 사건을 처리하고 관련자를 처벌하였다.
2 임신서기석-공부와 인격 도야에 관해 맹세하였다.
3 광개토대왕릉비-광개토대왕이 침략해 온 북위를 크게 무찔렀다.
4 사택지적비-사택지적이 지난 세월의 덧없음을 한탄하였다.
답:3
해설: 광개토대왕릉비에 나오지 않는 내용이다.
백제 건국의 주도세력이 부여.고구려계의 이주민 집단이었음을
말해주는 근거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백제 왕족의 성이 부여씨이다.
2 영산강 유역의 마한 소국들을 정복하였다.
3 건국신화에서 비류와 온조가 주몽의 아들이라고 하였다.
4 한강 유역의 초기 백제 무덤은 압록강 유역의 고구려식 무덤 양식을 이은 것이다.
답:2
다음의 사료를 통하여 알 수 있는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뒷받침 하는 유물을 고르면?
(영락) 9년 기해에 백제가 서약을 어기고 왜와 화통하므로, 왕은 평양으로 순수해 내려갔다. 신라가 사신을 보내 왕에게 말하기를, “왜인이 그 국경에 가득 차 성을 부수었으니, 노객은 백성된 자로서 왕에게 귀의하여 분부를 청한다.”고 하였다. ...... 10년 경자에 보병과 기병 5만을 보내 신라를 구원하게 하였다. ...... 관군이 이르자 왜적이 물러가므로, 뒤를 급히 추격하여 임나가라의 종발성에 이르렀다. 성이 곧 귀순하여 복종하므로, 순라병을 두어 지키게 하였다. 신라의 □농성을 공략하니 왜구는 위축되어 궤멸되었다.
1 칠지도 2 호우명 그릇
3 진흥왕순수비 4 배리석불입상
답:2
해설:
호우명 그릇 밑바닥에 “乙卯年國
岡上廣開土地好太王壺杅十(을묘년 국강상 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이라는 글씨
가 새겨져 있다.
다음은 삼국의 발전 과정에서 있었던 사실이다. 시대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ᄀ. 고구려의 침공을 받은 백제는 웅진으로 도읍을 옮겼다.
ᄂ. 수의 위협을 받던 고구려는 돌궐, 백제와 연합 세력을구축하였다.
ᄃ. 한강 유역을 차지하고 대가야를 병합한 신라가 삼국경쟁의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1. ᄀ-ᄂ-ᄃ 2.ᄀ-ᄃ-ᄂ
3.ᄂ-ᄀ-ᄃ 4.ᄃ-ᄀ-ᄂ
답:2
ᄀ 5세기 - ᄃ 6세기 말- ᄂ6세기 중엽
ㅁㅁㅁ
ㅁㅁㅁ
다음 도표는 신라의 골품과 관등에 관한것이다. 제시된 도표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복의 색깔은 관등에 의해 결정되었다.
2 진골이 처음 받는 관등은 대아찬이었다.
3 5두품은 황색과 청색 공복을 입을 수 있었다.
4 골품에 따라 진출할수 있는 관등에 한계가 있었다.
답:2
5관등 대아찬 이상은 정치와 군사를 담당하는 자리로 진골이 처음부터 받을 수 없는 요직이다.
ㅁㅁㅁ
ㅁㅁ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