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사 기출 앱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wlee0652.quiz1
다음 사건들과 가장 가까운 시점에 저술된 역사책은?
○ 백제는 도읍을 사비[부여]로 옮겼다.
○ 신라는 백관의 공복(公服)을 제정하였다.
○ 수나라가 중국대륙을 통일하였다.
1 유기(留記)
2 국사(國史)
3 서기(書記)
4 제왕연대력(帝王年代曆)
답:2
해설: 지문은 6세기 신라 진흥왕때
1번 유기는 고구려 역사서
3번 서기는 백제 근초고왕 때 역사서
4번 제왕연대력은 통일신라 최치원
역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록으로서의 역사’에는 역사가의 주관이 개입되면 안 된다.
2 역사를 통하여 현재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삶의 지혜와 교훈을 얻을 수 있다.
3 사료와 역사적 진실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므로 사료비판이 필요하다.
4 ‘사실로서의 역사’란 과거에 존재했던 모든 사실과 사건을 의미한다.
답:1
해설: 역사가가 연구하면서 필연적으로 역사가의 주관이 개입되게 된다.
아래의 '조선사'와 '한국통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한국통사'는 간행 직후 중국.노령.미주의 한국인 동포 들은 물론이고 국내에서도 비밀리에 대량 보급되어 민족적 자부심을 높여 주고 독립 투쟁정신을 크게 고취하였다. 일제는 이에 매우 당황하여 1916년 조선반도편찬위원회를 설치하고 '조선사(朝鮮史)' 37책을 편찬하였다.
1 '조선사' 편찬자들은 조선의 역사를 정체성, 타율성으로 설명하려 하였다.
2 '한국통사'의 저자는 우리의 민족정신을 ‘혼’으로 파악하였다.
3 '조선사' 편찬의 목적은 식민통치를 효율적으로 실시하려는 것이었다.
4 '한국통사'의 저자는 '조선사연구초'도 집필하여 민족정기를 선양하였다.
답:4
한국통사는 박은식, 조선사연구초는 신채호의 저서이다.
신라장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원경 부근 4개 자연촌의 촌락문서이다.
2 토지면적과 인구, 호, 우마, 뽕나무, 잣나무 등의 수가 기록되어 있다.
3 농민들에게 조세, 요역 등을 부과하기 위한 자료로 작성되었다.
4 호는 남녀별, 연령별로 구분하여 9등급으로 기록되었다.
답:4
해설: 호(戶)는 인정(人丁)의 수에 따라 9등급으로 구분되었고, 인구 수를 남녀별ᆞ연령별로 구분하였다.
김부식이 편찬한 '삼국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편년체로 쓰여진 역사서이다.
2 민간의 전승과 불교와 관련된 내용이 많이 실려 있다.
3 유교적 입장에서 신라를 중심으로 기록하였다.
4 원의간섭을받던상황에서우리민족의고유한문화를강조 하였다.
답:3
해설:
1. 삼국사기는 기전체이다.
2, 4는 삼국유사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역사서 저자들의 정치적 입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답:3
안정복의 『동사강목』은 성리학적 명분론을 대표한다
다음의 역사서가 편찬된 시기의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부여씨가 망하고 고씨(고구려)가 망한 다음 김씨(신라)가 남방을 차지하고 대씨(발해)가 북방을 차지하고는 발해라 하였으니, 이것을 남북국이라 한다. 당연히 남북국사가 있어야 하는데, 고려가 편찬하지 않은 것은 잘못이다. 저 대씨가 어떤 사람인가? 바로 고구려 사람이다. 그들이 차지하고 있던 땅은 어떤 땅인가? 바로 고구려 땅이다.
1 양명학이 수용되기 시작하였다.
2 성리학 수용을 지지하는 여론이 조성되었다.
3 서얼 출신을 규장각 검서관으로 등용하였다.
4 우리 역사의 통사 체계가 처음으로 확립되었다.
답:3
해설:
지문의 역사서는 유득공의 '발해고'이다.
유득공은 정조때 규장각 검서관이였다.
다음 주장을 고려할때 가장 적절한 태도는?
역사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을 사관(史觀)이라고 한다. 역사가가 어떤 사관을 가지고 책을 저술 또는 편찬하는가에 따라서 역사서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1 과거 사실을 밝히는 일을 지상 과제로 삼는다.
2 대중을 위한 역사를 만들고자 적당한 윤색을 가한다.
3 역사 서술에는 반드시 현재의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
4 역사서를 읽을때 독자는 저자의 사관을 염두에 둔다.
답:4
우리 역사의 특수성을 보여주는 설명만으로 묶은 것은?
ᄀ. 선사시대는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시대 순으로 발전 하였다.
ᄂ. 고대사회의 불교는 현세구복적이고 호국적인 성향이 있었다.
ᄃ. 조선시대 농촌사회에서는 두레, 계와 같은 공동체 조직이 발달하였다.
ᄅ. 전근대사회에서 신분제 사회가 형성되어 있었다.
1 ᄀ, ᄂ 2 ᄂ, ᄃ
3 ᄃ, ᄅ 4 ᄀ, ᄅ
답:2
풀이: 우리 역사의 특수성 (우리 민족만의 고유한 문화), ㄱ, ㄹ은 보편성, ㄴ,ㄷ은 특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