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사능력검정 선사시대 요약
1 강 선사시대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구석기 ->중석기(잔석기) -> 신석기 -> 우리민족의 형성 -> 청동기(농기구-석기, 벼농사) ->초기철기(청동기) -> 철기
구석기시대 : 이동, 사냥과 채집
주거: 바위그늘, 동굴, 막집
사회: 평등사회, 무리생활, 우리조상아님,
도구: 뗀석기- 주먹도끼, 끌개, 밀개, 찍개, 슴베찌르개 ... (~개) , 조각(사냥감번성 아트X, 매직O)
유적: 평남 상원 검은모루 동굴, 단양 금굴 유적, 경기도 연천 전곡리(아슐리안 계통의 주먹도끼), 충남 공주 석장리(집터 유적에서는 불 땐 자리), 덕천 승리산 동굴(사람의 뼈 화석 발견), 청원 두루봉 동굴(어린아이 매장한 흔적-흥수아이)
신석기시대: 농경, 정착
농경작물: 조, 피, 수수
도구 : 간석기-갈돌과 갈판(곡식 갈음), 돌낫
가락바퀴, 뼈바늘 -> 그물만듬 (원시적수공원)
보관: 토기
토기: 이른민무늬토기(그냥 민무늬토기->청동기,철기), 덧무늬토기(덧띠토기->철기), 눌러찍기토기, 빗살무늬토기(신석기 대표토기)
공동작업, 평등사회, 씨족-부족사회(족외혼)
주거: 강가나 바닷가(조개패총), 움집(원형, 정방형, 화덕 가운데)
신앙: 애니미즘(자연-태양, 물 등), 샤머니즘(무당), 토테미즘(동물-호랑이, 곰 등)
유적: 전국의 강가와 바닷가에 분포
제주 한경 고산리, 강원 고성 문암리(밭의 흔적), 서울 암사동, 김해 수가리, 봉산 지탑리(탄화된 좁쌀), 평양 남경 등
청동기 시대
농업기술의 발전- 반달돌칼(농기구-간석기), 바퀴날도끼, 홈자귀, 벼농사 시작
토기: 민무늬토기(이른민무늬토기->신석기), 미송리식토기(고조선 영역)
잉여생산->계급발생: 족장(군장), 제정일치, 선민사상(하늘의 자손), 남녀분업
무덤: 고인돌, 돌무지무덤, 돌널무덤(널무덤->철기)
비파형동검, 거친무늬거울
주거: 야산, 구릉, 배산임수, 움집(직사각형, 화덕 가장자리, 지상 가옥화), 취락 밀집
방어: 목책(울타리)과 환호(도랑)
유적: 부여 송국리(논에 도랑을 내고, 물을 끌여들여 농경), 울주 대곡리 반구대 바위그림, 고령 양전동 알터 바위그림
철기시대
토기: 민무늬토기, 덧띠토기( 덧무늬토기->신석기), 검은간토기, 붉은간토기
중국화폐: 명도전, 오수전, 반량전
창원 다호리 붓 - 한자사용
잔무늬거울, 세형동검, 거푸집
독무덤(항아리 무덤)
널무덤(돌널무덤-청동기)
철제농기구 사용
ㅁㅁㅁ5